포에베 (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에베는 토성의 위성으로, 그리스 신화의 티탄 여신 포이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윌리엄 헨리 피커링에 의해 1899년에 발견되었으며, 국제천문연맹은 이아손과 아르고호의 영웅들의 이름을 따서 포에베의 지형을 명명했다. 포에베는 토성의 자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 역행 궤도를 가지며, 토성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 포에베는 또한 토성의 고리 중 하나인 포에베 고리의 기원 물질로 추정된다. 카시니 탐사선의 관측에 따르면, 포에베의 표면은 어둡고 충돌구로 덮여 있으며, 탄소질 소행성이 포획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성의 위성 - 에피메테우스 (위성)
에피메테우스는 야누스와 비슷한 궤도를 공유하며 4년마다 궤도를 교환하는 토성의 위성으로, 불규칙한 모양에 낮은 밀도와 높은 알베도를 가지며 토성의 A 고리 외곽 형태를 유지하는 목자 위성이다. - 토성의 위성 - 이아페투스 (위성)
1671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견한 토성의 위성 이아페투스는 뚜렷한 명암 대비 표면, 적도 산맥, 특이한 궤도 경사각이 특징이며, 그리스 신화의 티탄족 이름에서 유래했고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불규칙 위성 - 네레이드 (위성)
네레이드는 1949년 제러드 카이퍼가 발견한 해왕성의 위성으로, 궤도 이심률이 크고 표면은 회색을 띠며 물 얼음이 검출되었다. - 불규칙 위성 - 카르포 (위성)
포에베 (위성) | |
---|---|
명칭 | |
이름 | 포에베 |
MPC 명칭 | Saturn IX |
명명 유래 | Phoíbē (그리스 신화의 포이베) |
형용사 | 포에베의 (Phoebean) |
이미지 | |
![]() | |
발견 | |
발견자 | 윌리엄 헨리 피커링 |
발견일 | 1899년 3월 18일 (1898년 8월 16일 촬영 사진에서 발견) |
발견 방법 | 사진 촬영 |
궤도 특성 | |
궤도 기준 | https://minorplanetcenter.net//iau/NatSats/NaturalSatellites.html |
긴반지름 | 12,960,000 km |
궤도 이심률 | 0.1562415 |
공전 주기 | 550.564636 일 |
궤도 경사 | 173.04° (황도 기준) 151.78° (토성 적도 기준) |
소속 | 토성 |
위성군 | 노르드군 |
물리적 특성 | |
크기 | (218.8 ± 2.8) × (217.0 ± 1.2) × (203.6 ± 0.6) km |
평균 반지름 | 106.5 ± 0.7 km |
질량 | (8.3123 ± 0.0162) × 1018 kg |
밀도 | 1.6428 ± 0.0326 g/cm3 |
표면 중력 | 0.038–0.050 m/s2 |
탈출 속도 | ≈ 0.0083123 km/s |
자전 주기 | 9.2735 시간 (9시간 16분 25초 ± 3초) |
자전축 기울기 | 152.14° (궤도 기준) |
반사율 (알베도) | 0.100 ± 0.005 |
표면 온도 | ≈ 73 K |
절대 등급 | 6.59 ± 0.02 |
2. 명칭
이 위성은 그리스 신화의 티탄족 여신 포이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토성 IX'라고도 불렸다. 국제천문연맹(IAU)은 포에베의 지형을 이아손과 아르고호 영웅들의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기로 했다. 2005년, IAU는 포에베의 24개 충돌구에 공식 이름을 부여했다.[18]
토성 · 포에베 · 타이탄]]
하와이 대학교의 토비 오웬은 국제천문연맹 외태양계 태스크 그룹의 의장이었는데, 카시니-호이겐스의 토성계 탐험과 포에베 발견을 아르고호 영웅들의 전설에 비유했다.
3. 궤도 특징
이아페투스를 제외한 모든 토성의 정규 위성들은 토성의 적도면에 매우 가깝게 공전한다. 바깥쪽 불규칙 위성들은 중간 정도에서 매우 높은 궤도 이심률을 가지며, 히페리온을 제외한 토성의 모든 내위성들과 달리 동주기 자전을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3. 1. 포에베 고리
포에베 고리는 토성의 고리 중 하나이다. 이 고리는 토성의 적도면(및 다른 고리들)에서 27° 기울어져 있다. 토성 반지름의 128배에서 207배 이상까지 뻗어 있으며, 포에베는 토성 반지름의 평균 215배 거리에서 행성을 공전한다. 고리의 두께는 토성 지름의 약 40배이다.[20] 고리의 입자는 미세 운석이 포에베에 충돌하여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다음 안쪽 위성인 야페투스의 궤도 운동과 반대되는 역행 궤도를 공유한다.[21] 따라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고리 물질은 야페투스의 선행 반구에 충돌하여 그 이색 착색에 기여한다.[22][23][24][25] 매우 크지만, 이 고리는 사실상 보이지 않는데,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적외선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사용하여 발견되었다.
4. 물리적 특징
포에베는 대체로 구형에 가까우며 지름은 약 213km로, 달의 약 1/16 크기이다.[4] 9시간 16분마다 자전하며, 토성을 약 18개월에 한 번 공전한다. 표면 온도는 약 -198°C)이다.
토성의 안쪽 위성 대부분은 표면이 매우 밝지만, 포에베의 알베도는 0.06에서 0.10 정도로 매우 낮아 검댕처럼 어둡다. 포에베 표면은 충돌구가 매우 많으며, 가장 큰 충돌구인 이아손의 지름은 약 100km이다.[35]
포에베의 어두운 색깔 때문에 과학자들은 처음에는 포에베가 포획된 소행성이며, 어두운 C형 소행성과 유사한 탄소질 소행성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탄소질 소행성은 화학적으로 매우 원시적이며, 태양 성운에서 응축된 후 거의 변하지 않은 고체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진다.[34]
그러나 카시니 탐사선의 관측 결과, 포에베의 충돌구 밝기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약 300m에서 500m 두께의 어두운 표면 퇴적층 아래에 대량의 얼음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또한 표면에서 이산화탄소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소행성에서는 한 번도 발견된 적이 없는 것이다. 포에베는 토성의 안쪽 위성(약 35%)과 달리 약 50%가 암석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과학자들은 포에베가 목성과 해왕성 사이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카이퍼 벨트의 얼음 소행성인 켄타우루스 소행성이 포획된 것이라고 추정한다.[27][28] 포에베는 이러한 천체 중 처음으로 점이 아닌 천체로 촬영되었다.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포에베는 초기 역사에서 구형이었고, 고화되기 전 분화된 내부를 가지고 있었으며, 현재의 약간 비평형적인 모양으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29]
5. 기원
포에베는 처음에는 어두운 표면 때문에 과학자들에 의해 포획된 탄소질 소행성으로 추정되었다. 탄소질 소행성은 화학적으로 매우 원시적이며, 태양 성운에서 응축된 후 거의 변하지 않은 고체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진다.[34]
그러나 ''카시니'' 탐사선의 관측 결과, 포에베의 충돌구에서 밝기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약 300m에서 500m 두께의 어두운 표면 퇴적물 아래에 상당량의 얼음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또한, 표면에서 이산화 탄소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소행성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것이다. 포에베는 토성의 안쪽 위성(약 35%)과 달리 약 50%가 암석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증거를 바탕으로, 과학자들은 포에베가 목성과 해왕성 사이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카이퍼 벨트의 얼음 소행성인 켄타우루스 소행성에서 포획되었다고 결론 내렸다.[27][28] 포에베는 점이 아닌 다른 형태로 촬영된 최초의 켄타우루스 소행성이었다.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포에베는 초기 역사에서 구형이었고, 분화된 내부를 가졌으며, 현재의 약간 비평형적인 모양으로 굳어졌다고 생각된다.[29]
포에베는 태양계 기원 후 300만 년 이내에 카이퍼 벨트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충분한 방사성 물질이 있어 구형으로 녹아내리고 수천만 년 동안 액체 상태의 물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초기였다.[29]
6. 탐사
보이저 2호는 1981년 9월에 포에베를 지나갔다. 비록 2.2Gm 거리에서 촬영하여 해상도는 낮았지만, 포에베의 지형구조를 알 수 있었다.[31] 보이저가 관측하기 쉬운 위치에 있지 않았던 토성의 다른 위성들과는 달리, 보이저 2호는 며칠 동안 포에베를 관측했고, 낮은 위상각에서 220만 킬로미터 거리에서 촬영한 이미지에서 포에베의 크기는 약 11 픽셀이었으며, 어두운 표면에 밝은 점들이 나타났다.
2004년 6월 11일, 카시니는 포에베로부터 2068km 떨어진 곳을 지나가면서,[32] 흉터가 있는 표면을 보여주는 많은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었다. 보이저 2호는 포에베의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를 얻는 것이 카시니 임무의 우선순위였으며,[9] 비행 경로는 의도적으로 근접하도록 설계되었다. 포에베의 짧은 자전 주기(약 9시간 17분) 때문에, 카시니는 포에베의 거의 전체 표면을 지도화할 수 있었다. 근접 비행으로 포에베의 질량을 1/500의 불확실성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33]
7. 지형
포에베의 지형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아르고 원정대 이야기에서 따왔다. 국제천문연맹은 2005년에 포에베의 충돌구 24개에 이아손을 비롯한 아르고 원정대원들의 이름을 붙였다.[18] 가장 큰 충돌구는 '''이아손'''이고, 내벽에 흰색 줄무늬(얼음으로 추정)가 있는 특징적인 충돌구는 '''에르기누스'''이다. 포에베의 유일한 평지는 포이베의 딸 레토의 이름을 딴 "레토 지역"이다.[1]
7. 1. 지역
레토 지역은 포이베의 딸 레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7. 2. 충돌구
2005년 국제천문연맹은 포에베의 충돌구 24개에 그리스 신화 속 이아손과 아르고 원정대에 나오는 인물들의 이름을 붙였다. 다음은 포에베의 충돌구 목록이다.이름 | 명명 유래 |
---|---|
아카스투스 | 아카스토스 |
아드메투스 | 아드메토스 |
암피온 | 암피온 |
부테스 | 부테스 |
칼라이스 | 칼라이스 |
칸투스 | 칸투스 |
클리티우스 | 클리티오스 |
에르기누스 | 에르기누스 |
에우페무스 | 에우페모스 |
에우리다마스 | 에우리다마스 |
에우리티온 | 에우리티온 |
에우리투스 | 에우리토스 |
힐라스 | 힐라스 |
이드몬 | 이드몬 |
이피투스 | 이피토스 |
이아손 | 이아손 |
몹수스 | 몹소스 |
나우플리우스 | 나우플리우스 |
오일레우스 | 오일레우스 |
펠레우스 | 펠레우스 |
플리아스 | 플리아스 |
탈라우스 | 탈라오스 |
텔라몬 | 텔라몬 |
제테스 | 제테스 |
가장 큰 충돌구는 '''이아손'''이며, 내벽에 흰색 줄무늬(얼음으로 추정)가 있는 특징적인 충돌구는 '''에르기누스'''이다.[18]
참조
[1]
OED
Phoebe
[2]
OED
Phoebean
[3]
웹사이트
Natural Satellites Ephemeris Service
https://minorplanetc[...]
[4]
논문
Sizes, shapes, and derived properties of the saturnian satellites after the Cassini nominal mission
http://www.ciclops.o[...]
2015-09-04
[5]
논문
The Orbits of the Main Saturnian Satellites, the Saturnian System Gravity Field, and the Orientation of Saturn's Pole*
2022-11-01
[6]
논문
Recovering the Rotational Lightcurve of Phoebe
[7]
논문
Cassini Imaging Science: Initial Results on Phoebe and Iapetus
https://authors.libr[...]
2019-09-23
[8]
웹사이트
On This Day
https://www.onthisda[...]
Unknown.
2017-09-21
[9]
웹사이트
Cassini Spacecraft Near First Stop in Historic Saturn Tour
http://www.nasa.gov/[...]
NASA
2008-03-02
[10]
논문
Irregular Satellites of the Planets: Products of Capture in the Early Solar System
http://www.ifa.hawai[...]
2007
[11]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https://ssd.jpl.nasa[...]
2020-06-09
[12]
논문
A New Satellite of Saturn
http://adsabs.harvar[...]
2004-07-14
[13]
논문
A New Satellite of Saturn
1899-03-24
[14]
논문
A New Satellite of Saturn
http://adsabs.harvar[...]
2004-07-14
[15]
논문
A New Satellite of Saturn
http://adsabs.harvar[...]
2004-07-14
[16]
논문
A New Satellite of Saturn
http://adsabs.harvar[...]
2004-07-14
[17]
논문
A Ninth Satellite to Saturn
http://adsabs.harvar[...]
2004-07-14
[18]
뉴스
Features on Saturn's moon Phoebe given names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Now
2005-02-24
[19]
논문
Saturn's largest ring
2009-10-07
[20]
웹사이트
The King of Rings
http://www.nasa.gov/[...]
NASA, Spitzer Space Telescope center
2009-10-07
[21]
뉴스
Largest known planetary ring discovered
http://www.sciencene[...]
2009-10-06
[22]
뉴스
Largest ring in solar system found around Saturn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3]
웹사이트
Cassini Closes In On The Centuries-old Mystery Of Saturn's Moon Iapetus
http://ciclops.org/v[...]
Space Science Institute
2009-12-22
[24]
논문
Iapetus: Unique Surface Properties and a Global Color Dichotomy from Cassini Imaging
2009-12-10
[25]
논문
Formation of Iapetus' Extreme Albedo Dichotomy by Exogenically Triggered Thermal Ice Migration
2009-12-10
[26]
논문
NEOWISE: Observations of the Irregular Satellites of Jupiter and Saturn
https://ui.adsabs.ha[...]
2015-08-01
[27]
논문
Saturn's moon Phoebe as a captured body from the outer Solar System
2005
[28]
웹사이트
Scientists Discover Pluto Kin Is a Member of Saturn Family
http://saturn.jpl.na[...]
2005-05-06
[29]
웹사이트
Cassini Finds Saturn Moon Has Planet-Like Qualities
http://saturn.jpl.na[...]
JPL/NASA
2012-04-26
[30]
뉴스
Phoebean craters
https://planetarynam[...]
USGS
[31]
논문
Phoebe: Voyager 2 observations
1983-11-01
[32]
웹사이트
Encounter with Phoebe
https://www.esa.int/[...]
2024-03-09
[33]
간행물
Roth et al., AAS Paper 05-311
[34]
논문
Geophysical evidence that Saturn's Moon Phoebe originated from a C-type asteroid reservoir
2019-06
[35]
논문
Phoebe's differentiated interior from refined shape analysis
2020-09-19
[36]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天文学辞典
朝倉書店
[37]
웹사이트
衛星日本語表記索引
http://planetary.jp/[...]
日本惑星協会
2019-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